728x90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 코드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실행됩니다.

var a = 1;
var b = 2;

var sum = a + b;
console.log(sum);

하지만 조건문을 사용한다면 이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조건문에는 if 문과 else문 그리고 if else 문이 존재하고

switch ~case 문이 존재합니다.

 

우선 if문 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if(조건식){
	실행구문
    }
    
    
if(조건식){
	실행구문1
    }else{
    실행구문2
    }
    
    
if(조건식){
	실행구문1
    }else if(조건식){
    실행구문2
    }else if(조건식){
    실행구문3
    }else{
    실행구문4
    }

맨 첫번째는 기본적인 if문 입니다

만일 조건식이 참이라면 해당 { } 중괄호 블록 안에 구문을 실행합니다.

 

하지만 만약 ~가 아니라면 else를 사용하여 흑백선택을 할수있게 도와줍니다

if 조건식이 거짓이라면 else구문을 실행합니다

 

하지만 2가지 조건 이상의 경우 else if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조건식이 거짓이라면 ~ else if 의 조건식이 거짓이라면 ~ 식으로 여러번 사용이가능합니다.

 

switch(표현식){
	case 표현식1 : 실행문1
    case 표현식2 : 실행문2
    .
    .
    .
    default : 실행문 a
    }

위는 switch case문입니다

if 문과는 달리 내가 표현식에 어떤값이 나올지 미리 예상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면 if문 보다 가독성이 좋은 코드를 만들수 있습니다.

 

728x90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  (0) 2021.01.10
상수  (0) 2021.01.08
변수  (0) 2021.01.08
728x90

연산자는 계산을 하는 도구입니다

기본적으로 +, -, /, * 가 존재합니다

 

console.log(1 + 1)
console.log(2 - 1)
console.log(2 * 3)
console.log(3 / 2)

+ 는 더하기 -는 빼기 *는 곱하기 / 는 나누기 입니다.

나누기에서 몫을 구할수 있으며 나머지값을 구하는 연산자는 % 를 사용합니다.

 

 

 

 

728x90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0) 2021.01.11
상수  (0) 2021.01.08
변수  (0) 2021.01.08
728x90

변수는 변할수 있는 수 입니다

그렇다면 상수는 무엇일까요?

 

상수는 앞으로 어떠한 변화도 없는 값을 말합니다

 

변수는 이전에 var, let 으로 선언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var a;
let b;

상수는 키워드 const 를 사용하여 선언을 합니다

const a;

변수와 상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변수는 값의 변화가 가능하지만 상수는 값의 변화가 불가능 하다는 것 입니다.

 

var a = 1;
console.log(a);
a = 2;

console.log(a);

const b = 2;
console.log(b);

b = 3;
console.log(b);

위의 코드를 IDE 나 웹의 개발자 도구를 통하여 실행해 보면 var a =1; 에 대한 출력은 정상적으로 1인 값이 2로 바뀌어 출력됩니다.

하지만 const 즉 상수로 선언된 b 는 2로 출력된뒤 b = 3; 으로 할당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코드를 작성하기전에 이값은 앞으로 변할것인가 변하지 않을것인가에 대해 생각을 한번 하고 선언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상수의 구체적인 활용과 변수의 구체적인 활용 은 이후에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0) 2021.01.11
연산자  (0) 2021.01.10
변수  (0) 2021.01.08
728x90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선언 에는 var 와 let 이 사용됩니다

 

var a;
let b;

var 와 let 의 차이는 이후 스코프 영역에서 자세히 배울 것 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다른 언어들처럼 변수를 정적으로 선언하지 않습니다


int a;
float b;
double c;

다른 언어에서의 변수 선언 방식입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해당 하는 변수에 따로 직접 정해서 변수선언을 할 필요없이 

var 와 let 으로 자바스크립트 스스로가 숫자인지 문자인지 파악한후 변수의 타입을 정해줍니다.

 

변수의 선언에는 2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var a;
a = 1;

var b = 2;

여기서 var a; 는 변수의 선언입니다. 이후 a = 1 은 변수의 초기화에 해당합니다.

 

var b = 2; 의경우는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진행한 경우입니다.

 

var b = 2; 처럼 보통은 변수선언을 진행합니다

그이유는 보기에 훨씬편하고(가독성) 헤깔리는 일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변수와 출력구문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본적인 Hello World! 를 출력 해보는 코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let helloWorld = 'Hello World!';

console.log(helloWorld);

여기서 let 을 이용해 helloWorld 라는 변수명을 입력하고 변수에 'Hello World!' 라는 문자열을 입력했습니다.

(여기서 문자열은 다음에 자세히 배우도록 합니다)

이후 console.log() 메서드를 통해 출력을 합니다

console.log(helloWorld) 괄호안에 변수명을 입력하면 해당 변수에 등록된 값(리터럴) 이 출력되며 직접 값을 바로 출력 할 수 도있습니다.

 

console.log('Hello World!');

 

값을 바로 출력한다면 이처럼 한줄로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728x90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0) 2021.01.11
연산자  (0) 2021.01.10
상수  (0) 2021.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