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 시작하는 주석문
- #include 전처리 지시자
- 함수머리 : int main()
- using namespace 지시자
- { } 로 범위가 정해지는 함수의 몸체
- cout 기능을 사용하여 메세지를 출력하는 구문들
- main 함수를 종료하는 return 구문
1. // 로 시작하는 주석문
주석문은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안에 기록해두는 메모 입니다.
프로그램에서 구역을 구분하거나 코드내의 변수, 부분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표시하는데 사용합니다.
이 주석문은 컴파일러는 아예 볼수없고 실제 실행을 시켜도 이부분은 따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include<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이건 한줄주석 이에요
/*
이건
여러줄 주석이에요
*/
return 0;
}
2. #include 전처리 지시자
전처리 지시자는 따로 호출하여 실행되는것이아니라 컴파일할 때 자동으로 실행이 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iostream 은 i(input) / o(output) 을 나타냅니다.
iostream 파일에는 C++의 몇가지 입출력 기능이 정의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에서 cout 의 기능을 사용하려면 이러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프로그램에서 입력과 출력을 위해 iostream 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3.함수 머리 main() 함수
실제 코드를 분해해 보면 이런식의 기본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int main()
{
구문
retrun 0;
}
여기서 int main() <- 여기 부분 까지를 함수머리 라고 합니다
이후 { } 중괄호 안의 구문들과 return 0; 을 함수 몸체라고 합니다.
함수 머리는 이 함수를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고 몸체는 그 함수가 처리하는 동작을 컴퓨터에게 지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에게 내리는 지시를 구문이라고 하는데 C++에서는 모든 구문은 세미콜론(;) 으로 끝나야 합니다
4. using namespace 지시자
이것은 using 지시자 라고 합니다 지금은 이런게 있구나 하며 나중에 따로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영단어>
instruction : 지시
statement : 구문
directive : 지시자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Hello World! (0) | 2020.11.06 |
---|